[1번지 현장] 박형준 혁신통합추진위원장에게 묻는 '보수 통합'<br /><br />지난 9일, 중도와 보수 통합을 위한 혁신통합추진위원회가 출범해 보수 야권의 통합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는데요.<br /><br />하지만 통합의 고지에 이르기까지는 아직 넘어야할 산이 많아 보입니다.<br /><br />오늘은 박형준 혁신통합추진위원장과 함께 현재 보수 통합 진행 상황과 앞으로의 일정, 안철수 전 대표와의 합류가능성까지 다양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.<br /><br />어서 오세요.<br /><br /> 어제 자유한국당과 새로운보수당이 당대당 협의체를 만드는 데 합의했습니다. 위원장님께서는 혁통위 차원의 논의를 하자고 제안하셨었는데요, 양당의 선택 어떻게 생각하십니까?<br /><br /> 새로운보수당과 그간 논의가 잘 이뤄지지 않았는데요, 어제 지상욱 의원은 혁통위원을 사퇴했고 새로운 인물이 혁통위에 합류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혁통위와 새로운보수당의 마찰의 우려는 사라진 것으로 봐도 될까요?<br /><br /> 새로운보수당은 위원장님의 중립성에 대해 불만의 목소리를 내왔습니다. 이 부분에 대해서도 하실 말씀이 있으실 것 같은데요?<br /><br /> 위원장님께서 생각하시는 보수 통합의 효과, 어느 정도까지 기대하십니까?<br /><br /> 혁통위와 함께 한국당과 새보수당의 양당 협의체까지 투트랙으로 통합 논의가 진행될 텐데요, 결과물 낼 수 있는 데드라인은 언제까지로 잡고 계십니까?<br /><br /> 여러 목소리를 들어야하는 만큼 보수 통합이 말처럼 결코 쉬운 것은 아닙니다. 통합에 있어 가장 큰 장애물이나 변수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?<br /><br /> 통합의 범주를 놓고 이견 조율도 관건입니다. 만약 선택을 해야 하는 상황이 온다면 우리공화당까지 안고 갈 수 있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혁통위와 양당 협의체 논의가 잘 이뤄져서 보수통합이 성공했다고 가정한다면 그 이후의 문제도 있습니다. 총선 공천에 대한 지분으로 서로 목소리를 높일 수도 있는데, 혁통위의 권한은 거기까진 아니지 않습니까? 통합 이후에도 파열음이 생길 가능성은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지난 주말,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가 귀국해 본격적인 정치 행보에 나섰습니다. 안철수 전 대표에 대해 계속해서 러브콜을 보내고 계신데 안철수 전 대표와 함께할 가능성, 몇 퍼센트로 보십니까?<br /><br /> 안 전 대표는 '실용적 중도 정치를 하는 정당을 만들겠다'고 합니다. 그것이 신당창당이 될지, 바른미래당을 리모델링할지 분명하지 않은데요. 박 위원장께서는 "지금 정치 환경에서 독자 세력이 성공할 확률은 높지 않다"고 하셨습니다. 어떤 면에서 그렇게 판단하시는 건가요?<br /><br /> 보수 통합에 안철수 전 의원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입니까?<br /><br /> 진보 진영에서는 통합사례가 종종 있어왔습니다. 범 보수권에서는 30년 전 김영삼 전 대통령의 3당 통합 정도가 있었는데요. 지금의 보수통합 움직임이 그때와 같은 우리나라 정치역사의 큰 이정표가 될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※ 내용 인용 시 연합뉴스TV 와의 인터뷰 내용임을 밝혀주시기 바랍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